객체 관계: 집합(Aggregation)과 인지(Acquaintance)의 차이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다양한 객체들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프로그램을 구성합니다. 그중에서 집합(Aggregation)과 인지(Acquaintance)는 객체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개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객체 관계의 기본 개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객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전체 프로그램이 동작합니다. 이때 객체 간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집합과 인지. 이들은 객체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서로에게 어떤 의존성을 가지는지를 정의합니다.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객체지향 설계를 올바르게 수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집합(Aggregation)이란 무엇인가?
집합(Aggregation)은 객체 간의 "전체-부분 관계(whole-part relationship)"를 나타냅니다. 이는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포함하거나 소유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집합 관계에서는 "부분" 객체들이 "전체" 객체의 일부로서 존재하지만, "부분" 객체들은 독립적으로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자동차와 바퀴의 관계
자동차를 예로 들면, 자동차는 여러 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자동차는 전체(whole)이고, 바퀴는 부분(part)입니다. 바퀴는 자동차가 없더라도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자동차가 없어져도 바퀴는 계속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집합 관계에서는 부분 객체가 전체 객체와 약한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독립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집합의 특징
- 약한 결합: 집합 관계는 객체 간의 약한 결합을 나타냅니다. 즉, 전체 객체가 없어져도 부분 객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부분의 독립성: 부분 객체는 전체 객체에 소속되지만, 전체 객체에 완전히 의존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독립적으로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전체-부분 관계: 전체 객체는 여러 부분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분 객체는 전체 객체의 일부로서 특정 기능을 수행합니다.
3. 인지(Acquaintance)란 무엇인가?
인지(Acquaintance)는 객체 간의 느슨한 연관을 나타냅니다. 이는 한 객체가 다른 객체에 대해 알고 있거나, 참조할 수 있지만, 강한 소유 관계나 생명 주기 의존성이 없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인지 관계는 두 객체가 서로를 참조할 수 있지만, 각 객체는 다른 객체의 소유물이 아니며, 생명 주기에도 의존하지 않습니다.
예시: 학생과 교사의 관계
학생과 교사의 관계를 생각해보세요. 학생 객체는 교사 객체를 참조할 수 있으며, 교사 객체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사 객체가 사라진다고 해서 학생 객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처럼 인지 관계는 매우 약한 결합을 가지며, 두 객체 간의 상호 참조만 존재할 뿐, 생명 주기나 소유 관계는 없습니다.
인지의 특징
- 느슨한 결합: 인지 관계는 객체 간의 매우 느슨한 결합을 나타냅니다. 객체들은 서로를 참조하지만, 소유하거나 의존하지 않습니다.
- 독립적 생명 주기: 객체들은 서로의 생명 주기에 의존하지 않으며, 하나의 객체가 사라져도 다른 객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단순한 참조 관계: 인지 관계는 객체 간의 단순한 참조 관계를 나타내며,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하지 않습니다.
4. 집합과 인지의 차이점
집합과 인지 관계는 모두 객체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지만, 그 결합도와 의존성의 수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두 관계의 주요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결합도의 차이
- 집합: 객체 간의 결합도가 더 강하며, 전체 객체는 부분 객체를 포함하거나 소유합니다. 부분 객체는 전체 객체의 일부로서 존재하지만,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인지: 객체 간의 결합도가 매우 약하며, 객체들은 단순히 서로를 참조하거나 알고 있을 뿐입니다. 소유나 의존 관계는 없습니다.
생명 주기의 차이
- 집합: 부분 객체는 전체 객체에 소속되지만, 전체 객체가 사라지더라도 부분 객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인지: 객체들은 서로의 생명 주기에 전혀 의존하지 않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객체의 독립성
- 집합: 부분 객체는 전체 객체에 소속되지만,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인지: 객체들은 서로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완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5. 집합과 인지 관계의 사용 사례
객체지향 설계에서 집합과 인지 관계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집합 관계 사용 사례
집합 관계는 객체 간의 약한 결합과 독립성을 필요로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복합적인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집합 관계를 사용하면, 부분 객체들이 전체 시스템에 완전히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전체 시스템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메모리, CPU 등)는 집합 관계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인지 관계 사용 사례
인지 관계는 객체 간의 결합을 최소화하고, 단순한 참조만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GUI 시스템에서 버튼 객체는 인지 관계를 통해 이벤트 핸들러 객체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버튼은 이벤트 핸들러를 참조하지만, 이벤트 핸들러에 완전히 의존하지는 않습니다.
6. 집합과 인지 관계의 장단점
각 관계의 장단점을 이해하면, 객체지향 설계에서 적절한 관계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집합 관계의 장점
- 모듈화: 시스템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모듈화할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 용이성: 부분 객체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집합 관계의 단점
- 복잡성 증가: 부분 객체와 전체 객체 간의 관계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의존성 관리 필요: 전체 객체와 부분 객체 간의 의존성을 신중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인지 관계의 장점
- 단순성: 객체 간의 관계가 단순하여 설계가 쉬워집니다.
- 유연성: 객체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시스템의 유연성이 높아집니다.
인지 관계의 단점
- 제한된 상호작용: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단순 참조에 국한되므로,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결합력 부족: 결합도가 낮아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7. 결론: 적절한 관계 선택의 중요성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집합과 인지 관계는 객체 간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두 관계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한 관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합 관계는 전체와 부분 간의 강한 연관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인지 관계는 객체 간의 결합을 최소화하고, 단순한 참조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객체지향 설계에서 이들 관계를 잘 활용하면, 더 나은 구조와 유지보수성을 가진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